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스노우 월드

스노보드 용어정리 (가 ~ 하) 본문

스노우보드 (Snow Board)/지식

스노보드 용어정리 (가 ~ 하)

evil77 2008. 2. 28. 10:34


네이버 지식in에서 퍼왔습니다.
고수들이 하는말이나 다른 강의들에서 보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이것을 참조해 주세요^^


-------------------------------------------------


갈랜드(garland): 사행활주. 지그재그로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히 슬리핑하는 것.

구피(Goofy): 진행방행을 기준으로 오른쪽 다리가 앞쪽인 것.

그라운드 트릭(ground trick): 에어를 하지 않고 슬로프위에서 행하는 기술 전반을 가리킨다.

글라이드 왁스(glide wax): 활주용 왁스, base wax와 반대로 미끄러짐을 최대화(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왁스

그랩(grab): 잡기. air에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보드를 잡는 기술의 총칭.




900(nine hundred): 공중에서 2회전반(900°)도는 에어트릭.

노즈 그립(nose grip): 노즈를 잡아주는 기술.




드롭인(drip in): 하프파이프로 들어가는 것

덕 스탠스, 덕 풋(duck stance, duck foot): 양발이 양쪽 밖(V 자 모양)으로 하는 바인딩 세팅의 종류.

덱패드(deck pad): 뒷발 바인딩앞에 부착하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




로데오플립(rodeo flip): 프론트사이드 스핀과 인버트 기술을 합친 것이다. (로데오 540°, 720° 등이 있다)

라쳇(Ratchet): 바인딩의 잠금장치

로우 백(low back): 바인딩의 백(뒷받침)이 낮은 것.

로스트 비프(roast beef): 그랩트릭의 하나. 레귤러의 경우 오른쪽 손을 정강이 사이로 빼 힐에지를 잡아 뒷발을 뻗어준다.

로켓에어(rocket air): 보드가 지면에 수직이 된 상태에서 앞의 손이 노즈부분을 잡고, 뒷발은 뻗은 공중기술.

롤아웃(roll out): 하프파이프의 립으로부터 플랫폼으로 올라가는 일

롤인(roll in): 립으로부터 하프파이프로 들어가는 일

레일슬라이드(rail slide): 파이프 등의 물건위를 활주하는 기술

리쉬(leash): 보드와 다리를 연결하는 코드(끈).

린에어(lynn air): 하프파이프의 프론트사이드에서 행하는 메소드. 멜랑꼴리와 같이 앞손으로 양발사이를 잡는 것은 동일하                  나 트윅(tweak)에 가까운 기술이다

립(lip): 점프대와 하프파이프의 정점



맥트위스트(Mc twist): 스케이트보드의 핸디칼 트릭으로부터 발전한 하프파이프 트릭의 하나.

                     백사이드 540°의 3D에어 트릭

메소드(method): 힐에이지를 앞손으로 잡는 것으로, 포인트는 허리를 펴주는 것이다.

멜랑꼴리(Melanchollie): 앞쪽손으로 뒷꿈치쪽의 레일을 잡는 것.

뮤트(Mute): 토에지 부분(양발사이)을 앞손으로 잡는 것으로 몸을 틀어주는 것도 가능하다

미스티 플립(Misty flip, 하프파이프에서는 맥트위스트): 스트레이트 점프에서 행하는 에어트릭. 백사이드 540° 스핀을 복합                                                     한 트릭. 스트레이트 점프 맥트위스트.



뷔페리 턴(Bupperi turn): 프랑스의 세르지 뷔페리가 고안해 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몸을 크게 기울여 손이 설면에 닿                          을 정도로 턴을 하는 고도의 테크닉.

백 사이드(back side): 발뒤꿈치 쪽. 힐(heel side)라고도 한다. 백사이드의 엣지로는 턴을 백사이드턴이라고 한다.

백사이드 로데오(backside rodeo): 최근기술로 멜랑꼴리 그립과 동시에 인버트 기술을 합친 것.

백 플립(back flip): 뒤로 공중 회전하는 것. 도는 건 쉬우나 착지를 볼 수 있는 순발력이 필요하다.

백 컨트리(back country): 정규 슬로프가 아닌 장소에서 라이딩 하는 것.

보더 크로스(boarder cross): 여러명이 동시에 출발해서 점프대와 슬로프로 만들어진 코스를 점프와

                           라이딩을 병행하는 시합.

본 아웃(born out): 한쪽의 발을 밀어내면서 에어를 하는 트릭.(cf. 인디 노즈본)

블라인드 사이드(blind side): 스핀의 회전방향에서 백사이드와 같은 것.

버텀(bottom): 하프파이프의 가장 낮은 부분.



사이드 슬립(side slip): 폴라인과 직각으로 해서 보드를 횡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

셋 백(set back): 바인딩의 부착위치를 중심보다 뒤쪽으로 정하는 것.

스케이팅: 뒷발의 바인딩을 풀러서 설면을 차면서 나아가는 평평한 설면을 이동하기위한 기본적인 테크닉.

스위치 스탠스(switch stance): 모든 기술을 반대 발로하는 것,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이다.

                             역방향의 스탠스로 에어를 행하는 테크닉.

스테일 피쉬(stale fish): 힐에지쪽의 테일부분을 뒷손으로 잡는 것.

스핀(spin): 공중기술 중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술.

3D: 종방향의 회전이나 횡방향의 회전등이 복합되어진 트릭의 총칭.

360(three sixty): 에어를 하면서 360도 회전하는 스핀트릭.

쉬프트(shift): 에어,특히 스핀시 역방향으로 몸을 비트는 테크닉




아이스반(ice bahn): 슬로프가 얼어서 빙판이 진 곳.

알리(ollie): 보드의 노즈부터 들어올려 테일이 나중에 따라올라오게 뛰어오르는 기술.

           점프와는 다르며 스케이트보드에서 유래한 기술이다.

윈드 립(wind lip): 바람에 의해 눈이 쌓여 생긴 천연 점프대.

어프로치(approach): 점프를 하기위해 도약하는 부분 또는 그를 위한 경사.

에징(edging): 에지로 설면을 베도록하는 것. 스피드 컨트롤과 턴에 있어서 필요한 테크닉.

앨리웁(alley-oop): 하프파이프에서의 스핀 트릭의 하나.

에어턴(Air turn): 공중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테크닉. 하프파이프의 기본이 된다

180(one eighty): 에어트릭의 하나. 공중에서 반회전하는 것

원풋(one foot): 한쪽발을 바인딩에서 푼 상태로 행하는 에어트릭

인디 그립(indy grip): 토에지 부분(양발사이)을 뒷손으로 잡아주는 기술.

인버트에어(invert air): 하프파이프의 립에서 거꾸로 서는 모든 기술을 가리킨다

ISF(Intemational Snowboard Federation): 국제 스노우보드연맹.

                                       1985년에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오스트리아 인스브룩에 있다.




점프램프(jump lamp): 점프를 하기위한 도약대.




채터(chatter): 떨림. 빠른 속도와 회전중간에 보드가 불필요하게 떨리는 현상

치킨샐러드(chicken salad): 앞다리를 뻗는 상태에서 뒷손이 다리 사이로 들어가서

                          두 바인딩 사이의 뒷날(heel side)을 잡는 기술




카빙(carving): 에지를 세워 보드가 미끄러지지 않게 턴을 하는 테크닉

클리프점프(cliff jump):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점프

캡구조(cap structure): 데크의 표면(top sheet)에서 사이드 월(side wall)까지 덮어 강도를 높인 데크구조.

캠버(camber): 보드를 평평한 바닥에 두었을 때 보드 중간부분에 바닥에서 뜨는 간.

클리퍼(cliffer): 하프파이프 트릭의 하나. 프론트사이드의 벽에서 행하는 백플립.

콕스크류(cork screw): 스핀의 한 종류로 540°이상의 스핀을 시도할 때 쓰인다. 몸이 조금 기울어짐.




트랜지션(transion): 하프파이프의 바닥(buttom)으로부터 벽(vertical)로 이동하는 부분.

테이블탑(table top): 점프대에서 립과 랜딩 사이가 테이블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1080(ten-eighty): 공중에서 3회전(1080°)하는 에어트릭.

테일 그랩(tail grab): 뒷손으로 테일을 잡아 주는 기술.

트윅(tweak): 메소드를 하면서 상체와 뒷손을 반대쪽으로 비트는것.

트리 런(tree run): 숲속에서 나무를 피해가며 활주하는 일. 균형감각과 컨트롤이 필요하다.



540(five-fourty): 공중에서 한바퀴반(540°)회전하는 에어트릭.

펌핑(pumping): 하프파이프의 트랜지션부분에서 무릎과 체중이동에 의해 가속하는 테크닉.

페이키(fakie): 반대방향 라이딩. 즉 레귤러(구피)로 라이딩하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구피(레귤러)로 타는 것.

폴라인(fall line): 최대경사선. 언덕위에서 아래로의 가장 가파른 경사선. 플로우 라인(flow line)이라고도 한다.

폴인(fall-in): 바인딩의 백을 앞으로 기울게 하는 것.

프론트 풋(front foot): 앞발. 보드의 앞쪽부분(nose방향)에 있는 발. 레귤러의 경우 왼발

프론트 핸드(front hand): 앞쪽 손. 레귤러(regular)의 경우 왼손. 구피(goofy)는 오른손

프론트 사이드(front side): 앞면. 토사이드(toe sied)라고도 한다.

플렉스(flex): 탄성. 보드의 휘어지는 정도나 강도.

플립(flip): 앞이나 뒤로 회전하는 것. 공중제비

플랫홈(flat form): 하프파이프 립 상단의 평평한 부분

피봇(pivot): 보드의 중심을 선회 축으로 하여 두발로 보드를 돌리는 것.

PSA(Professional Snowboarders Association): 프로 스노보드 연맹



하이크업(hike up): 보드를 메고 걸어서 경사면을 올라가는 것.

하콘플립: 테리에 하킨슨(Terje Haakonsen)이 고안해 낸 기술. 페이키 맥트위스트 720°

힐컵(heel cup): 바인딩의 뒤꿈치부분으로 움푹패인 곳.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