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노우보드 (Snow Board)/지식 (10)
스노우 월드
영하 20도까지 떨어진 날 백야로 스키장 갔다가 죽을뻔 했습니다... 보드를 처음 배우시거나 하는 분은 꼭 갖추세요. 1. 고글 - 낮이나 밤의 빛이 눈에 반사되면 안구에 매우 안좋기 때문에 고글을 하는데요 그 외에도 고글은 눈이 내리거나 바람이 불어 눈이 날릴때 눈을 보호해줍니다. 눈이 직접 피부에 붙는걸 막아주는 방어막 효과를 하기때문에 중요합니다. 고글 없이 타시는 분들이 있는데 눈에 반사되는 햇빛이 모이는 지점에 오래 노출될 경우 실명의 위험도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타다가 얼굴로 넘어졌을때 고글이 생각외로 충격을 많이 흡수해줍니다. 2. 보호장비 -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엉덩이 보호대만을 합니다. 하지만 사람이 언데 어디서 부딛혀올지... 언제 어떻게 넘어질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손목! 무릎! ..
잘탄다고 좀만 방심하면 뭔가를 잃어버립니다. 슬로프 중간즈음.. 전화가 와서 전화를 받고 밑에서 사람을 만나기로 하고서... 본인은 안넘어지겠지.. 하고 상의 주머니에 폰을 넣고 잠그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던 와중 출발하려 할때 어느 초보분께서 저에게 돌진을 하셨고... 가만히 서있던 저는 잠깐 넘어졌었는데... 그때 빠졌나 봅니다...ㅠ.ㅠ 흰색이라.. 그 주변 눈을 파봤는데도 없고.... 전화해봐도 진동이라 반응이...ㅠ.ㅠ 피눈물이 납니다... 보드탈때 가장 중요한점은... 절대 흰물건일수록... 지퍼달린 주머니에 넣고 지퍼를 잠그는 습관을... 지갑/핸드폰 등 분실에 주의하셔요... 핸드폰은 항상 벨소리로... 가장큰 벨소리로 바꾸고 타세요... 진동은 묻히면 끝장... 그리고 잃어버려서 이리저리 ..

2. 사이드 슬립 (낙엽턴) 이번강의에선 사이드슬립.( 일명 낙엽턴 ) 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사이드 슬립이란 그림처럼 폴라인과 직각으로 해서 보드를 횡으로 미끄러지게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사이드 슬립엔 백사이드슬립과 프론트 사이드 슬립이 있는데... 백사이드슬립의 경우엔 토우사이드 슬립이라고도 합니다. 말그대로 전방에 경사를 두고 타느냐.. 후방에 경사를 두고타느냐...로 결정됩니다. 사이스슬립 상태서 트레버스라고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서 내려오는 기법이있는데 그림과같이 낙엽이 떨어지는 모양같다고 하여 낙엽턴이라고도 합니다. 프론트 사이드의 경우엔 그림과 같은 자세로 무게중심만 잘 옮겨주시면 무난하게 타실 수 있습니다. 역으로 엣지가 먹으면 경사면쪽으로 넘어져 큰 고통이 밀려오므로... 웬만해선..
네이버 지식in에서 퍼왔습니다. 고수들이 하는말이나 다른 강의들에서 보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이것을 참조해 주세요^^ ------------------------------------------------- 가 갈랜드(garland): 사행활주. 지그재그로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히 슬리핑하는 것. 구피(Goofy): 진행방행을 기준으로 오른쪽 다리가 앞쪽인 것. 그라운드 트릭(ground trick): 에어를 하지 않고 슬로프위에서 행하는 기술 전반을 가리킨다. 글라이드 왁스(glide wax): 활주용 왁스, base wax와 반대로 미끄러짐을 최대화(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왁스 그랩(grab): 잡기. air에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보드를 잡는 기술의 총칭. 나 900(nine hundred..
야메강사 evil입니다. 허접한 강의를 시작하기 앞서 대충 전에 목차를 설명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강의를 하나하나 할까 합니다. 첫 챕터는 1. 넘어지기, 일어나기, 안전정검 등의 기초 였습니다. 보드는 발이 묶여있는데다 스키처럼 빠지지 않기때문에 위험합니다. 탈골되거나 뼈가 부러져버리는 일이 많으니.. 최소한의 안전책은 알아둬야겠지요? 이번 강의에서는 쉽게 다치는 부위.. 위험한 자세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고 보호대의 필요성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보호장비가 필요한 이유 - 초보들일수록 보호대의 필요성을 무시하곤 합니다. 그러나 보호대는 꼭 구비해야 되는 품목입니다. 최고 저렴하게 보딩할 수 있는 팁과 주의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대상은 아예 처음타는분 ~ S자턴을 갓 하시는 초보분을 ..
크게 나누면 6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넘어지기, 일어나기, 안전정검 등의 기초 - 안전수칙 외 기본을 모르는건 부상으로 이어지니 가장 중요하죠. 2. 사이드 슬립 - 일명 낙엽이라고도 하죠 3. 베이직 턴 - 다양한 방법으로 사람들은 턴을 시작합니다. 뒷발차기하는분부터 몸을 베베 꼬는 모습.. 바른 자세는 뒤에 강좌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4. 너비스 턴 - 카빙턴을 위해 배우는 턴으로 슈템턴이라고도 합니다. 날로 타는길로 업다운을 중시합니다. 이것을 배우면서 J턴이라는것도 자연스레 배우게 됩니다. 5. 카빙턴 - 숏카빙 롱카빙 등등 말이 많은데 통째로 묶겠습니다. 카빙턴이야 말로 간지보더의 기본이죠. 6. 트릭 - 익스트림 스포츠 매니아라면 트릭에 당연 관심이 있을것입니다. 카빙까지 완성..
시즌이든 비시즌이든 데크나 바인딩 부츠에 물기가 있으면 좋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딩 후 보관할 때에는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시는게 좋습니다. 부츠또한 물이 들어가면 냄새나고 곰팡이슬기때문에 라이딩 후에 잘 말려주는게 중요합니다 또한 장비 보존시에는 부츠는 모양이 변하지 않게 약간의 신문지를 구겨 넣어 보관해 주시면 되구요 바인딩은 데크에서 분리 시켜 보관하시면 됩니다. 데크는 절대 베이스 부분으로 놓고 보관하시면 안되구요 이렇게 되면 캔버가 죽어 버립니다. 데크는 옆으로 세워서 사이드 엣지 부분을 바닥에 두고 탑시드.. 윗면은 벽을 향하도록 놓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10일 정도 타신후에는 엣지 수리와 왁싱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왁싱의 경우는 상처난곳을 보완해주는 작업으로 초반에 는 ..
부츠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Soft, Hard로 나누어짐니다. ( 왼쪽부터: Hard용, Clinker, Soft용 ) 부츠의 선택요령 부츠는 재질에 따라 소프트 부츠와 하드부츠로 나눌수 있고, 이너부츠가 있는 두겹짜리 부츠와 한겹짜리부츠가 있다. 이너부츠가 있는것이 무게가 다소 무겁지만 방수나 방한에서는 한겹짜리부츠보다 뛰어난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소프트 부츠 소재가 가죽이나 천으로 되어있고, 착용감이 좋으며 프리스타일이나 프리라이드 보드를 탈때 주로 사용한다. 이너부츠가 있는 이중 부츠와 한겹으로 된 부츠가 있다. 하드 부츠 프라스틱류의 딱딱한 소재로 되어있고, 주로 알파인 보드를 탈때 사용한다. 소프트 부츠에 비해서 무거운 대신 내구성에서는 다소 앞서있다. 그리고, 스텝인 시스템의 바인딩과 함께..
☆보드란?☆ 어느새 겨울 스포츠에는 스노보드란 명칭이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불과 몇 년전만 하더라도 스키장에서는 보드는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였다. 눈을 쓸어 내려서 스키어들을 방해한다는 잘못된 지식이 여기에 크게 한몫 했다고 할수 있다. 보드가 사람들에게 대중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보더가 아닌 연예인이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96년 당시(아닐수도 있다. 본인 중2때로 기억한다) 사람들앞에 보드를 타는 뮤직 비디오를 선보였다. 그당시만 하더라도 낯선 스포츠였지만,어느덧 겨울 스포츠의 강력한 한 축으로 자리잡으며, 스키에게 뒤지지 않는 인구를 자랑하는 겨울 익스트림 스포츠의 선두주자가 되었다. ★스노보드의 출발과 역사★ 스노보드의 모태는 스케이트 보드와 서핑, 그리고 스키에서 발달 되었다. 현대..
* 스노우보드 초보자 교실 스노우 보드의 유래 스노우 보드는 처음 미국 산악지방에서 스키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널판지나 그 밖의 것들을 이용, 시작되었다. sports로 도입되기 시작한 건 1959년 미국에서 파도타기의 개념을 응용 시작되었다. 초기엔 목재나 플라스틱 등 단순한 소재에 불과했다. 1970년대 말 본격적인 스노우 보드가 나오기 사작했는데, 이때야 비로소 바인딩이 도입되었고, steel edge가 붙은 제품이 나왔다. 또한 스노우 보드란 단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현재에는 세계각국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스포츠로 발전되었고 동계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스노우 보드의 종류 A.프리스타일 보드 프리스타일은 말그대로 자유로이 즐길 수 있고 큰차이점은 FLEXIBLITY가 좋고..